조회 수 1987 추천 수 0 댓글 0
Atachment
첨부 '3'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남아공, 김경열 선교사입니다.

 

주안에서 문안드립니다.

월드컵을 성공적으로 마친 남아공의 현지 분위기와 이에 대한 단상을 적어 보았습니다.

읽으시고 관심과 기도 부탁드립니다.

 

 

월드컵의 대성공과 남아공의 미래

 

1. 남아공 국민들의 대단한 자부심과 자신감

 

남아공 월드컵이 큰 성공을 거두며 끝났습니다. 사실 세계의 우려와 달리 남아공은 월드컵을 준비하면서 항상 자신감과 자부심에 넘쳐 있었습니다. 월드컵 직전인 지난 5월에 남아공 스텔렌보쉬 대학에서 3천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바로는 남아공 흑인들 중 96%가 남아공 국민으로서 자부심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또한 그들은 미래에 대해서도 긍정적 발전을 믿고 있었고, 어렵게 얻어낸 자유와 현재의 민주주의를 신뢰하고 있었습니다.

 

 01.jpg

<월드컵 개막식과 폐막식, 한국과 아르헨티나 전이 벌어졌던 요하네스버그의 시티 사커>

 

 

구체적으로 인종별로 살피면, 흑인의 96%, 백인의 92%, 컬러드의 98%, 인도인의 92%가 매우 혹은 상당히 자랑스럽다고 답변했습니다. 의외로 놀라운 것은 백인들 역시 압도적으로 남아공에 대해 자부심을 갖고 있다는 사실입니다. (참고로 인구 비율은 흑인은 3,500만, 백인 450만, 컬러드는 과거 인도차이나에서 노예로 잡아 온 말레지아인들과 흑인들과의 혼혈 후손으로 약 200만, 인도계는 과거 백인들이 역시 노동력 확보를 위해 인도에서 데려 온 순수 인도인 후손들로 현재 150만, 그 외 중국을 비롯 아시아인)

 

백인들은 과거 1994년 만델라의 흑인 정권에 권력을 내줄 때, 불안감으로 100만 명이나 이 땅을 떠난 적이 있습니다. 그리고 이후에도 흑인 정부의 노골적인 백인 역-차별(제 관점에서는 평등화와 정상화의 과정)로 많은 불만을 품고 있으며 매우 불안해 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그럼에도 백인들이 90%가 넘게 남아공에 대해 자부심을 갖고 있다는 사실이 놀라울 뿐입니다.

 

이와 같이 남아공의 심각한 범죄 현황과 에이즈, 세계 최고의 빈부 격차와 부정 부패의 실상에도 불구하고 정작 남아공 국민들은 미래에 대해 여전히 낙관하고 있습니다. 저는 이 점에 크게 주목하고 있습니다. 흔히 말하는 일종의 긍정의 힘이랄까 그게 미래를 위한 에너지가 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월드컵 직전 애초에 이곳의 한인들도 크게 우려하는 분위기였습니다. 대부분 위험할 것이란 이유로 한국 경기의 표도 사지 않았는데, 나중에는 표를 못 구해 안달이 되는 상황이 되었습니다. 막상 대회가 시작되니 교통, 숙박, 대회 진행에 아무런 문제가 없었고 범죄율은 평균 50% 이상 떨어졌으며 지역별로는 80%까지 낮아지기도 했습니다. 아마도 월드컵 기간의 이런 급격한 범죄율 하락은 남아공 국민의 국가적 자부심이 크게 작용한 것으로 추측됩니다.

 

아마도 성공적으로 월드컵을 끝낸 남아공 국민들의 자부심은 월드컵 전의 96%를 넘어 거의 100%라 할 수 있을 것입니다. 정녕 이번 대회를 통한 남아공 사람들의 자부심은 이루 말할 수 없이 큽니다. 연일 방송과 신문에서는 “자랑스런 남아공, 아프리카의 자부심”이란 말이 쏟아지고 있습니다. 이런 자신감을 바탕으로 현재 남아공은 2020년 올림픽을 유치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습니다. 저도 이번 대회를 성공적으로 치른 남아공 사람들을 보면서 이 땅에 일말의 희망을 품을 수 있었습니다.

 

이제 월드컵 이후의 당면한 남아공의 숙제는 건설 현장에서 빠져 나올 실업자의 급증과 구축한 인프라의 효율적 사용과 관리입니다. 현재의 예상으로는 크게 문제될 것은 없어 보입니다.

 

 

2. 월드컵과 남아공, 그리고 아프리카의 미래

 

선교적 관점에서 볼 때에도 이번 월드컵은 대단히 큰 의미를 지닌 대회였습니다. 남아공은 국민적 자부심과 더불어 상당한 국민 통합의 분위기가 형성되었고, 나아가 아프리카 대륙 전체가 대륙의 일체감과 더불어 자신감을 갖게 된 계기였다고 봅니다. 아프리카의 흑인들도 역사의 주역이 될 수 있다는 것입니다.

 

그러나 개인적으로 보는 남아공의 미래는 “정치”에 달려 있습니다. 현재 흑인들의 압도적 지지를 받고 있는 거대 여당인 ANC(Africa National Congress, 아프리카 민족 회의)의 사실상의 일당 독재가 정치적 사회적 부패의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습니다. 하지만 사실은 영적인 관점에서 보자면 오로지 희망은 그리스도 예수 안에, 또한 “교회”에 있을 것입니다. 따라서 아프리카 교회가 미래를 위해 바른 정치인과 지도자를 키워야 할 책임이 큰 것입니다.

 

 02.JPG

<대통령 궁인 남아공의 청와대, 유니온 빌딩(Union Buildings)>

 

1994년 만델라의 대통령 당선과 더불어 탄생한 남아공의 흑인 정부는 이제 갓 16살의 어린 아이의 단계입니다. 아직 갈 길이 멀고 좀 더 지켜 봐야 할 때입니다. 그러나 한 가지 이곳 대학의 백인 정치학자들도 말하는 것은 남아공의 헌법은 세계 최고로 잘 만들어져 있다는 것입니다. 특히 인종 차별의 쓰라린 경험이 있어서 인지, 모든 인종과 계층을 향한 평등의 정신이 배어든 뛰어난 헌법으로 평가됩니다. 그 헌법의 정신이 제대로 실현만 된다면, 남아공은 크게 도약할 수 있을 것입니다.

 

참고로 남아공의 프레토리아 대학의 법과대학은 2009년도 유엔에서 선정한 인권 법률 분야의 최고 대학으로 뽑히기도 했습니다. 그 분야의 세계 최고의 권위를 지닌 교수가 몸담고 있기도 합니다.

 

그럼에도 남아공의 미래가 불투명한 것은 바로 정치 사회적으로 만연한 부정 부패, 극단의 빈부 격차, 에이즈로 이어지는 심각한 성적 타락, 세계 1, 2위를 다투는 높은 범죄율 때문이라 할 수 있습니다.

 

세계적 범죄율은 극도로 심한 빈부 격차와 흑인의 40%에 이르는 높은 실업률 때문인 것으로 보아야 합니다. 남아공은 9%에 불과한 백인들이 여전히 농지의 87%를 소유하고 있고, 부의 70% 이상을 독점하고 있는 실정입니다. 경제권을 여전히 쥐고 있는 백인들은 분배에 별 관심이 없습니다. 결국 빈부격차로 인한 흑-백 갈등은 여전한 상태입니다. 거기다 신흥 흑인 부유층과 빈곤층 간의 갈등 및 권력을 넘겨 받은 흑인 부족들 간의 흑-흑 갈등도 점점 심각해 지고 있는 상황입니다.

 

또한 에이즈의 확산과 범죄율의 증가의 배후에는 부정 부패로 인해 사회적 책임을 다 하지 못하는 정치 권력이 자리 잡고 있습니다. 대통령 주마(Zuma) 부터가 대통령이 되기 전 외국의 무기 수입상들로부터 천문학적 뇌물을 받은 혐의가 확실했음에도 무마되어 대통령으로 당선 되었고, 올 해 초 대통령이 된 후에 사생아를 낳은 사실이 발각되었음에도 사과 한 마디로 넘어가는 실정이니 말할 필요도 없을 것입니다.

 

남아공과 아프리카 국가들은 스스로 자신들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어야만 미래를 기대해볼 수 있을 것입니다. 월드컵을 성공적으로 치른 만큼, 아프리카에 결코 희망이 없다할 수는 없을 것입니다.  

 

 

3. 영화 "디스트릭트 나인" (District 9)과 남아공

 

남아공을 이해하기 위한 좋은 영화 한편을 소개하며 글을 마치려 합니다. <디스트릭트 9>이라는 영화입니다. 작년 10월경에 한국에서도 개봉되었는데 나름 흥행을 했고, 세계적으로도 큰 성공을 거두었습니다. 대단히 적은 예산으로 제작된 이 영화의 이런 세계적 돌풍은 아무도 예상치 못했습니다.

 

파충류처럼 매우 혐오스러운 모습의 외계인들이 등장하는 이 영화는 단순한 SF 영화가 아니라 남아공의 현실을 풍자한 대단한 고발 영화입니다. 사실 몇 가지 배경을 알고 그 영화를 보면, 그 메시지는 대단히 강력합니다.

 

 

03.jpg

 

<"영화 디스트릭트 나인"의 포스터>

 

이 영화는 남아공 아파라트헤이트 정책이 극에 달했던 1960년대 실제로 일어났던 ‘디스트릭트 6’이라는 사건을 배경으로 삼은 영화입니다. '디스트릭트 6' 사건은 1966년 당시 아파르트헤이트 정권이 남아공 케이프 타운의 '디스트릭트 6' 지역을 백인 거주 지역으로 전환하여 재개발하기 위해 1968년부터  1982년까지 흑인 빈민 거주자 6만 여명을 강제로 쫓아낸 사건입니다. 이 영화를 바로 그곳에서 촬영했다고 합니다.

 

영화 속에서 우주선 고장으로 우주 미아가 된 불쌍한 외계인들을 흑인으로 치환해서 보게 되면, 영화의 선명한 메시지가 드러납니다. 외계인들은 지구에 불시착한 뒤 지구인들에게 잡혀 집단 수용되고 그곳은 ‘디스트릭트 9’이라 구역으로 불리게 됩니다. 외계인들은 실로 그곳에서 처참한 모습으로 살아갑니다. 너무도 정확히 바로 그 모습이 현재의 절대 다수의 빈곤한 흑인들의 삶이기도 합니다.

 

영화의 다소 폭력적인 장면이나 혐오스러운 우주인들의 몸이 터지는 등 리얼한 장면들 때문에 아쉽게도 <19세 관람가> 영화가 되었지만, 이곳 남아공에선 15세 관람가였고, 제가 보더라도 별 문제가 없는 것 같습니다. 한번 시간 내서 관람해 보시기 바랍니다.

 

어쨌든 이번 월드컵을 계기로 남아공의 여러 환경들이 쇄신될 기회가 되어 남아공을 비롯 아프리카 전체가 도약하게 되길 기대해 보면서 글을 마치겠습니다.

 

이 글에 이어 <선교 소식을 담은 편지>를 하나 더 올려드리겠습니다. 남아공과 아프리카를 위해 기도해주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사랑합니다.

 

김경열/김선영(유민,유준,유승) 선교사 올림

후원구좌: 국민은행 04321-0785-921 김경열

 


  1. 주소망교회-오준석강도사

    Date2010.10.25 Byhoney Views2079
    Read More
  2. 페루 선교보고 - 김성일선교사

    Date2010.12.10 Byhoney Views2069
    Read More
  3. No Image

    민다나오 둘째날 - 교회들

    2007년 3월 4일(일) - 주일예배 - 지역 교회 방문 예배전 주일 예배를 위해 집에서 8시 10분쯤 출발하여 8시 50분쯤 도착했습니다. 오늘부터 차는 인쇄소의 작업 차를 이용했습니다. 교회는 Kidapawan 시내를 거의 중간쯤 가다가 오른쪽으로 조금 들어가서 Kid...
    Date2007.03.14 Byhoney Views2069
    Read More
  4. 최헌주선교사 기도편지

    City of Joy 주님 안에서 평안하신지요? 순간순간 동역자님들의 기도의 힘을 느끼며 감사드립니다. 저희는 이곳의 삶에 잘 정착해가고 있습니다. 이번에는 저희가 살고 있는 도시 캘커타에 대해 소개해드릴까 합니다. 인구 1200만의 대도시인 캘커타는 빈곤과...
    Date2006.09.22 Byhoney Views2054
    Read More
  5. No Image

    일로일로에서 두번째 기도편지

    하늘가족 여러분 안녕하십니까? 요즘 저희가 어떻게 지내냐면, 잘 지냅니다. 저희가 날씨에 적응했다기 보다는 날씨가 저희에게 적응했습니다. 다름이 아니라 태풍 때문에 요 며칠 계속 비가 오니까, 날씨가 선선합니다. 저희는 시원하고 좋은데 현지인들은 ...
    Date2006.09.28 Byhoney Views2051
    Read More
  6. No Image

    김동건/배영혜 선교사 기도편지 29 호 (새로운 변화들)

    김동건/배영혜 선교사 기도편지 29 호 (새로운 변화들) 주제 : 태국이여 복음으로 일어나라! 목표 : 삼백목회자 & 일천지도자 양육 - 일백교회 이식 “이스라엘아 여호와를 바랄지어다 여호와께서는 인자하심과 풍성한 속량이 있음이라”(시편 130:7) 1. 싸...
    Date2009.09.03 Byhoney Views2047
    Read More
  7. 사랑하는 아멘 가족에게

    사랑하는 아멘 가족에게 예수님의 은혜와 평강이 함께 하시길 기원합니다. 이곳은 이제 여름이 시작되려합니다. 아직 아침 저녁으론 쌀쌀함이 있지만 이곳 베이스는 온통 푸른색으로 너무나 아릅답습니다. 현재 제가 사역하고 있는 파트인 DTS 예수제자훈련학...
    Date2007.05.31 Bybaram Views2037
    Read More
  8. No Image

    토론토에서 문안드립니다.

    지금 이곳 시간은 새벽 6시 25분이 되어갑니다. 아직 시차적응이 쉽지 않은지 새벽 한시면 일어나서 하루를 시작하고 있습니다. 다음주 월요일부터 베이스사역에 복귀하며, 충분한 휴식을 취하려고 노력 하고 있습니다. 지난 두달간의 시간들 가운데 하나님께...
    Date2006.09.16 Bybaram Views2026
    Read More
  9. No Image

    필리핀 정재왕선교사님소식(풀어서 올립니다)

    제목 없음 정재왕(장정희, 초록) 선교사 가정 선교편지 [문안 인사] 아멘교회 성도 여러분, 그간 안녕하셨습니까? 정재왕(장정희, 초록) 선교사 입니다. 저희들은 필리핀에서 연중 가장 덥다고 하는 시기인 3,4,5월을 무난히 보내고 지금은 우기(雨期)를 맞아...
    Date2006.07.18 Byhoney Views2020
    Read More
  10. No Image

    민다나오 마지막날 - 결론

    2007년 3월 8일(목) - 필리핀의 언어 - Philippine Eagle - Samal Island - 최후의 만찬 - 종합 결론 우리에게 집을 제공해준 사람은 Kidapawan에 있는 고무공장 사장의 막내아들로서 기계공학을 전공하고, 부친의 공장에 있는 모든 기계를 직접 설계하고 만...
    Date2007.03.15 Byhoney Views2007
    Read More
  11. 정덕이의 기도편지 10-5

    기도편지 10-5.doc HWP Document.pdf 사랑하는 동역자 한 분 한 분에게 하나님 아버지의 사랑과 은혜와 평강을 전합니다. 모두들 주님 안에서 평안하시지요? 저는 이 곳 뉴질랜드 선교사 훈련대학에서 마지막 텀을 은혜 가운데 보내고 있습니다. 무엇보다 이번...
    Date2010.11.06 Byhoney Views1997
    Read More
  12. 땅끝에 서서 - 남아프리카 임성현선교사 기도편지 6호 2010년 7월 5일

    땅끝에 서서 - 남아프리카 임성현선교사 기도편지 6호 2010년 7월 5일 주 안에서 은혜와 평강이 넘치시길 늘 기도합니다. 이곳 남아프리카 이스트런던은 아침과 저녁 기운이 제법 차갑습니다. 그래도 여전히 낮에는 20도가 넘는 따뜻한 날씨로 인해 추워야만 ...
    Date2010.07.08 Byhoney Views1997
    Read More
  13. No Image

    태국 김동건(배영혜) 선교사 기도편지

    편지원본: 김동건 배영혜 35호 편지.hwp
    Date2011.09.06 Byhoney Views1987
    Read More
  14. 월드컵의 대성공과 남아공의 미래 - 김경열선교사

    남아공, 김경열 선교사입니다. 주안에서 문안드립니다. 월드컵을 성공적으로 마친 남아공의 현지 분위기와 이에 대한 단상을 적어 보았습니다. 읽으시고 관심과 기도 부탁드립니다. 월드컵의 대성공과 남아공의 미래 1. 남아공 국민들의 대단한 자부심과 자신...
    Date2010.07.29 Byhoney Views1987
    Read More
  15. 시티 오브 조이 - 인도 최헌주선교사

    시티 오브 조이 편지원본: 기도편지22.hwp 이 사람은 의롭고 경건하여 이스라엘의 위로를 기다리는 자라(눅2:25) 나마스떼! 인도 땅과 한국과 열방 가운데 임하실 주님의 위로와 구원을 기다리며 새로운 한해를 시작합니다. 기쁨과 소망이 가득한 한해가 되시...
    Date2011.01.08 Byhoney Views1987
    Read More
  16. No Image

    표선평강교회20110330

    Date2011.04.10 Byhoney Views1981
    Read More
  17. 이용범선교사 기도편지

    사랑하는 기도의 동역자님께, 어느덧 더운 여름도 지나고 선선한 가을이 시작되었습니다. 알바니아는 학기가 9월에 시작하므로 9월이 되면 마치 한국의 3월처럼 새로운 생동감이 있는 기간입니다. 이제 다음 주 부터 학교들이 개학하게 되면 주변의 분위기는 ...
    Date2006.09.22 Byhoney Views1978
    Read More
  18. No Image

    필리핀에서 2007년 첫번째 소식

    사랑하는 동역자 여러분! 필리핀에서 이종헌(송영희)가 예수 그리스도의 이름으로 문안드립니다. 새해 첫날 선교 편지를 드려서 이곳 사역에 기도로 동참을 부탁드리고 싶었는데 몇 가지 여건상 구정 첫날에 인사드리게 되었습니다. 한국서는 떡국들 드셨겠지...
    Date2007.02.22 Byhoney Views1977
    Read More
  19. No Image

    이용범 선교사 선교보고

    사랑하는 알바니아 선교 동역자님께, 2008년도가 이제 하루를 남겨 둔 채 지나가고 있습니다. 이제 선교지에서 16년의 시간을 보내고 또 새로운 한 해를 맞이하게 됩니다. 다가오는 새 해에는 “하게 하시는 하나님”으로 인하여 소망이 되고, 또 더 큰 일들을 ...
    Date2008.12.31 By최목사 Views1970
    Read More
  20. 사산교회 현황보고

    Date2011.01.18 Byhoney Views1968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3 4 5 6 7 8 9 10 11 12 ... 42 Next
/ 42